애드센스 미국 세금 정보 등록하기 (ft. 정산 지급 보류시 해봐요!)
#꾸시라이프
요즘은 진짜 할 일 투성이다.
미국도 가야하고 유즘도 진행하고 음악도 해야겠고..
사실 음악이 가장 우선인데 현실이 쉽지 않다ㅜ 미국 다녀와서 꼭 잘해봐야지..!
오늘 한 일도 많고 해서 자야지~~ 했는데 왠걸 애드센스 의 지급 지연이 자꾸 거슬리는 것이었다.
우선 애드센스 미국세금정보 등록해야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구글은 애드센스로 번 돈에 대해 원천징수로 세금을 내게 한다. 미국인지 타국인지에 따라, 법인인지 개인인지에 따라 세금을 부과하는 정도가 다르다! 한국인에 맞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원천징수 공제율>
- 세금양식을 제출하지 않은경우 : 광고수익금 전체의 24% 원천징수
- 제출했으나 TIN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 : 미국내 광고수익에서 30% 원천징수
- 제출했고 TIN을 입력한 경우 : 미국내 광고수익에서 10% 원천징수
🏁TIN : 회사나 단체에 주어지는 사업자 등록번호 같은 것으로, 일반개인은 해당되지 않는다.
일단 한국에서 활동하는 블로거로서 쓸데없이 미국에 세금을 과하게 내지 않기 위해선 개인으로 하는게 가장 좋다는 결론!
본격적인 애드센스 미국 세금 정보 등록하기
언제나 그렇듯 구글 애드센스 계정에 로그인 해준다.
https://www.google.com/adsense
그리고 메뉴 지급-> 결제 정보를 누른다.
설정 관리에 들어간다.
밑으로 내려 미국 새금 정보를 클릭한다.
세금 정보 관리 누르기!
벌써 빨간 경고문이 떴다! 빨리 세금 폭탄 때리기전네 신고하라는 내용 ㅎㅎ
세금 양식 시작을 누르고 구글계정에 로그인한다.
개인 클릭을 해준다.
미국 시민이 아니니 아니오 클릭
W-8BEN을 체크해준다.
이름을 잘 적어준다 영문으로!! 여기서 중요한 점, 지급받는 계좌 이름이랑 구글 계정이랑 같은 이름으로 적어야한다. 난 여기서 대충 적어서 보류가 떴다ㅠㅜ 그리고 DBA(상호)는 적지 않아도 된다. 또한 ‘외국인 TIN’은 회사나 단체에 주어지는 사업자등록번호 같은 것인데, TIN을 입력하면 세금을 더 내게 되니 사업자등록번호가 없는 일반개인은 넘기자!
대한민국으로 지정후 주소도 적어준다. 역시나 영문으로 주소를 적어야 한다. 영문 주소는 밑에 링크로 변환하기!!
영문 주소 확인하기
원천징수세율에 아니오 클릭!
본인이 입력했던 정보에 대해 틀림 없음을 확인하는 단계도 체크!
본인 맞음을 확인 후 실명을 적는다. 영어로!
미국에서 활동했는지를 체크하는 항목입니다. 한국에서 활동하므로 ‘아니오’에 체크!
이전에 수익실현을 한 적이 있다면 ‘기존 결제 프로필의 세금정보 제공’에 체크하고 아니면 첫 번째에 체크한다.
우편 수신 중지에 체크해준다.
다 끝났다!
하지만 문서 누락 나옴…
이유인 즉슨, 역시나 우려한 일이 ㅎㅎ
구글 애드센스 계정 이름과 이곳에 적은 이름이 동일하지 않아서였다. 당황하지 않고 바로 허용되는 신분증응 업로드해준다. 바로 여권 등록해버림:)
검토중으로 뜨니 빠르면 2일 늦으면 2주가 걸린다한닼 구글은 맨날 2주래,, 빨리 됐으면 좋겠다. 아주 참 쉽쥬!?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스타 사칭계정 도용계정 초간단 해결 방법!! (8) | 2022.06.26 |
---|---|
미국 입국시 무조건 봐야할 필수 서류 및 절차!! (ft. 코로나 19) (0) | 2022.06.20 |
떼인 세금, 삼쩜삼 환급액 쉽게 받기! (0) | 2022.06.06 |
주말 환전, 어플로 미국 달러 환전하는 방법! (ft. 토스, 유트랜스퍼) (0) | 2022.05.30 |
미국 이스타(ESTA) 비자 발급, 처음이어도 쌉가능! (0) | 2022.05.25 |